수능특강 영어영역 3강 4번.

2025. 3. 10. 18:14Individual Tutoring

반응형

 

 

3-4.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People have a strong desire to define categories using rules. It is a natural human goal 

사람들은 가진다 강한 욕망을 범주를 정의하고자 하는 규칙들을 사용해서. 이것은 (앞문장) 자연스러운 인간의 목표이다 

to impose order and sense on the world, to be able to know what boxes everything should 

질서와느낌을 주기 위해서 세상에, 알기 위해 어떤 상자에 모든 것들이 들어가야만 하는지 (범주화), 애매모호함 없이.

go into, with no ambiguity. The disappointing aspect is that this urge has failed in almost 

                                              이 실망스러운 관점이 that절 입니다. 이 긴급한 촉구가(범주화) 실패해 왔다는 것입니다

every attempt. Most natural categories simply do not have a definition or rule that comes 

거의 모든 시도에서. 대부분의 자연스러운 범주는 단순히 가지지 않습니다 하나의 정의나 규칙을 제대로 작동 할만 한. 

close to working. Even human-made categories in systems of rules, like games, legal 

                              심지어 인간이 만들어낸 범주도 (규칙의 구조 안에 있는 마치 게임, 법률, 공식적인 진단 유형, 그리고 선호도 같은것도) 

systems, official diagnostic categories, and the like can put only so much order into the 

                                                                                        겨우 몇가지 질서를 세울 뿐이다 우주에 (단 하나로 모든 질서를 설명 할 수없음)

universe. There are always test cases that seem to break the rules - unclear category 

                  항상 시범 사례가 존재한다 그 규칙들을 깰 것 처럼 보이는 

membership, not fitting into any category, or just giving the wrong answer. This is not due 

- 불명확한 범주 구성, 어떤 범주에도 맞지 않는것, 또는 잘못된 대답을 하는것.             이것은 어떠한 인간의 실패 때문이 아니라

to any human failing, I believe, but simply to the natural complexity and messiness of the 

                                   (내가 믿기에는) 세상의 자연스러운 복잡성과 지저분함 때문이다. 

world. No religion, legal system, or bureaucracy can completely control the variation and 

           종교도, 법률도, 또는 어떤 관료주의도 완전하게 통제 할 수 없다 다양성과 이상한 사건들을

weird events that occur even in limited worlds like baseball or disease classification. 

발생하는 심지어 제한된 세상에서도 야구와 질병 구분 같은. 

*ambiguity: 모호함. *diagnostic: 진단의. *bureaucracy: 관료주의

  1. 대상의 유사성 파악을 통한 범주화는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 된다. 
  2. 세상의 복잡성과 무질서로 인해 인간의 범주화 시도는 한계가 있다. 
  3. 공정한 판단은 전형적 범주 외의 예외적 항목을 고려할 가능하다. 
  4.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는 인간의 능력이 성공적인 범주화를 가능케 한다. 
  5. 종교가 법적 체계 안에서 범주화 되어야 개인과 사회의 안정이 보장된다. 

 

반응형